반응형 Sience5 빛이란 무엇일까? 빛을 찾아서 편 지난 시간에는 하나의 가설을 세웠죠? "항성에서, 불꽃에서, 번개에선 어떤 에너지가 발생 혹은 변화 되었고, 그 결과 빛이 발생 하였다." 이번엔 이 가설을 증명할 시간이 왔어요. 먼저 항성을 볼까요? 모두다 볼 수는 없지만, 항성의 가장 큰 특징은 "스스로 빛을 낸다" 이죠. 항성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바로 태양입니다. 태양은, 지구도 마찬가지이지만 내부의 핵에서 수소핵융합과정을 반복, 그결과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생성하게 됩니다. 그 에너지를 바탕으로 태양은 빛과 열에너지를 발산하지요. 그럼 태양이 수소핵융합을 하는 원동력은 무엇일까요? 네 '중력'입니다. 항성이나 행성들은 기본적으로 어마어마한 중력으로 자신의 주변 물질들을 뭉치고 거기서 발생되는 어마어.. 2017. 9. 14. 빛이란 무엇일까? 우주의 비밀편 오랜만에 돌아온 bggh입니다 다들 빛에 대해선 배우셨나요? 이과분들은다들 배우셨을 거예요. 빛이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가지죠. 어떻게 정의 하기가 매우 까다로워요. 그런 빛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해요. 빛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빛이 나기 위한 조건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한번 파헤쳐보도록 하죠. 먼저 가장 구식으로 빛을 내는걸 생각해볼까요? 먼저 '불'이 있네요. '불'은 인류에게 큰 발견중 하나이죠. 그런 '불'을 피우면 빛이나요. 이렇게 빛이 나오지만 이 빛은 그리 밝진 않아요. 그저 주변을 조금 빛출 뿐이죠. 그리고 빛을 내는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네 '해'가 있어요.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 2017. 8. 29. 여름철 우주의 별자리 part.3! 백조자리와 여름별자리들 오늘은 여름철 별자리 시리즈 마지막이예요. 아 슬...프지 않죠? 각설하고 오늘은 어제 들려드린 스토리 견우와 직녀이야기에서 아시는 분들은 다들 아시겠지만 둘사이를 이어주는 다리 은하수를 건너갈 수 있게해주었던 바로 그 다리 오작교는 여름철 별자리에서 백조자리가 자리를 하고있답니다. 이 백조자리는 십자가 모양이어서 북십자성이라고도 불려요. 여기서 중요한 사실! 백조자리에서 가장 밝고 아름다운 별이 있어요 이것을 백조의 꼬리에 위치했기에 '백조의 꼬리'란 뜻에서 '데네브'라고 부르는데요. '데네브'는 맨눈으로는 하나의 별처럼보이지만 천체망원경으로 보면 2개의 별이 겹쳐져 보이지요. 이러한 별을 '쌍성'이라 부르는데 데네브는 밝은 푸른색.. 2017. 8. 19. 여름철 우주의 별자리이야기 part.2 독수리자리 저번에 제가 거문고 자리이야기를 들려드렸는데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밝은별을 '베가'라고 불러요. '베가'... 어디서 많이 들어보지 않았나요? 네 해봐야 과거 SKY에서 내놓은 '베가'시리즈의 스마트 폰일텐데요. 사실 '베가'는 우리말로 '직녀성'이예요. 이번에 들려드릴이야기는 바로 견우와 직녀입니다. 뜬금없다고요. 듣다보면 뜬금없지 않을걸요?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소를 돌보는 견우와 옥황상제의 딸이자 베를 짜는 선녀 직녀가 살았어요. 둘은 정말 우연하게 만났는데요. 세상에 만상에 둘이 아주 첫눈에 반해서 얼레리 꼴레리 했대요. 이 둘은 서로를 깊이 사랑했어요. 여기까진 아주 좋은 하나의 사랑이야기죠. 근데.. 2017. 8. 17. 여름철 우주의 별자리 이야기-거문고자리 오늘의 이야기는 별자리이야기 입니다. 사실 제가 일전에 국립중앙과학관 천체관에서 별자리해설일을 조금 했었거든요. 그때 했던 별자리가 여름철 별자리와 가을철 별자리이야기 였어요. 오늘은 그중에서 여름철 별자리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여름철에 흔히 볼수 있는 별자리는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그리고 독수리 자리를 이어 여름철 대삼각형이라고 부른답니다. 그럼 간만에 여름철 별자리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먼저 거문고 자리입니다. 거문고자리는 리라 자리로도 불려지는데요. 일전에 SNL에서 권혁수씨가 열연해 주셨던 그리스 로마신화의 패러디중 오르페우스의 이야기입니다. 오르페우스는 여러분이 잘 아시는 리라의 대가 였어요. 그의 연주는 하늘과 땅 동물과 식물, 요정, 심지어 신들마저 감동시킬정도였죠. 그런 그를 많은 여.. 2017. 8.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