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언제나 유쾌하게 살고픈 이야기 블로그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본문

공부를 합시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Bggh 2017. 10. 12. 17:51

반두라 이론이란

반두라 이론은 캐나다 출신의 미국 심리학자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가 주장한 이론으로서 정식명칭은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로 요약 하자면 사람의 행동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상황을 관찰하거나 모방한 결과로 이루어진다는 교육심리학 이론으로 쉽게 설명하자면 사람의 행동은 자라오면서 겪은 다른 사람이나 주변 환경에 의해 변한다.” 정도로 이해해도 좋을 것이다.

 

사회학습이론의 특징

사회학습이론은 4가지 특징을 가지는데 첫 번째로 인간의 내적과정과 외적과정을 결합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의 행동은 사회적 상황 속에서 개인의 내적·인지적 과정과 환경적 영향력간의 상로 작용으로 결정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관찰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회적 상황 속에서 행동의 학습에 관심을 가지고 인간행공의 상호결정론과 행동의 습득 사이에서 관찰학습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 하였으며, 세 번째로는 인간의 행동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 학습한다. 로 행도에 영향을 주는 자신의 경험(직접, 간접경험)을 통해 대리강화 함으로서 인지가 중요하다고 주장 했으며, 이는 프로이트, 칼 융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칼 융은 인간이 과거에 어떠한 경험을 겪었고 그것이 무의식속에 스며들어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장기를 나누었고, 각 과정에서 트러블이 생겼을 시에 나타날 수 있는 행동의 모습을 정의해 두었다. 여기서 프로이트와 반두라 의 차이를 설명하자면, 프로이트는 각 성장발달기의 구간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드러나는 모습을 설명하며 각 성장발달기에 필요한 교육을 바이블처럼 제시 하였다면, 칼 융은 인간의 현재 행동을 과거의 사건으로 인한 트라우마로 작용 현재의 행동에 영향력을 제시한다. 라고 하였다. 프로이트와 칼융의 주장은 서로 비슷해 보이나 프로이트는 인간의 트라우마나 현재의 모습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하나의 거대한 틀에 맞추었고, 칼 융은 개개인의 사건마다 나타날 수 있는 행동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들과 반두라 의 차이를 설명하자면, 이들은 하나의 사건이 트라우마 역할을 하여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라는 것이 칼융과 프로이트의 주장이라면, 반두라는 인간의 행동은 과거에 겪어온 상황 속에서 다른 이가 문제를 해결해 나가던 모습을 모방하여 현재의 행동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인간행동의 표현은 모델에 관한 관찰을 통해 이루어지는 인지적 활동이다. 이 부분은 현재에서도 적용되어지는 부분이다. 대표적인 예가 롤모델(Role model)’인데 롤모델은 자기가 마땅히 해야 할 직책이나 임무 따위의 본보기가 되는 대상이나 모범이라는 사전적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인간은 자신이 해야 하는 일에 관하여 무의식적으로 본보기가 되는 인물을 선정 그 인물의 행동을 모방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인간에게 어떤 문제가 주어졌을 때, 인간은 우선 주변의 모범이 되는 인물의 문제 해결을 모방하기 위해 문제를 우선 인지한 뒤 자신의 모델을 선정, 그 모델을 관찰한다. 이때 관찰하는 방법에는 5가지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는 종류만 가볍게 보고 넘어 가겠다. ‘직접모방 전형, 동일시 전형, 무시행 학습 전형, 동시 학습 전형, 고전적 대리조건형성 전형이 있다. 이러한 관찰학습 과정을 거쳐 관찰한 내용을 기억, 파지하는 보전과정으로 넘어간다.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기억은 파지된다. 예를 들어 문서를 파쇄 하는 작업을 관찰했을 때, 모델이 기기를 사용하고, 종이를 반복해서 기계에 넣으며 파쇄하며 내부에 파쇄지가 가득하면 비워주는 작업을 할 것이다. 이 과정을 보면서 관찰자는 반복되는 장면은 파지, 파쇄기를 조작, 문서를 파쇄, 그리고 가득한 파쇄지를 비우는 작업만을 기억하여 보전할 것이가. 이 과정을 통해 이미지를 굳히고 나선 운동재생과정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관찰자가 자신이 기억한 이미지를 기본으로 직접 실시하는 과정이다. 여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며, 미숙한 부분을 연습하여 동기화하는 과정을 겪는다. 동기화 과정에서는 자기강화의 과정으로 자신이 직접 모방한 모든 과정을 자신의 것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며 이 과정을 마치면 해당 작업은 더 이상의 모방은 필요하지 않게 되며, 현재의 행동을 능숙하게 취하게 된다.

 

 

사회학습이론의 의의

사회학습이론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행동에서 외부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내적이고 자발적인 측면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쉽게 말하자면 인간의 행동을 보았을 때, 물론외적 강화가 행동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으로 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도 맞다. 하지만 모델의 강화도 내적 흥미로부터 자발적으로 행동을 학습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모델이 강화되면 인간의 내부에선 호기심, 흥미가 유발 되고 그것으로 부터 자발적인 행동으로서 학습이 된다는 것이다. 최근에서는 교육에 있어 흥미를 유발시켜야 한다는 말이 있다. 이것이 그러한 의미이다. 둘째, 관찰학습은 단순한 행동을 신속하고 쉽게 학습할 수 있지만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하는 행동의 학습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는 장인과 그 제자를 떠올리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장인의 기술을 장인은 직접 가르치지 않는다. 하지만 제자는 어께너머로 장인의 기술을 관찰하여 자신의 것으로 발전시켜나간다. 장인의 기술은 복합적인 기능을 하기에 이러한 경우는 보통 경험의 누적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인간행동의 발달에서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학습과 관련된 인지적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즉 인간은 각 성장과정에 따라 인지하고 학습하는 정도가 다르다. 쉽게 말해 인지하는 인지력의 차이가 있는데, 그러한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 부정적으로 평가되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즉 사회학습이론은 개인별로 나타나는 학습효과의 차이나 나이별론 달라지는 학습능력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하나의 틀로서 분석을 했다는 것이며, 이것은 반두라가 비판했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부분이다. 프로이트 역시 인간을 하나의 틀로서 그 틀에 맞추어 인간의 정신을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결론

인간의 성장에 따른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보았다. 어떻게 보면 기존에 있던 칼융이나 프로이트와 비슷한 내용으로 판단될 수도 있지만, 다른 내용이며, 인간의 행동 결정의 요인에서 인간의 경험을 중시하며 상호작용을 중시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일 것이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자신이 비판했던 프로이트의 전통적인 정신분석이론과 비슷하게 형태를 잡아갔으며,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칼융이 개인의 개성이나 능력의 차이를 이해하려고 노력한 셈이다. 또한 사회학습 이론에서 인간의 행동 발달이 칭찬이나 벌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관찰만으로도 가능하다고 주장함으로써 모델 대상의 역할이 중요하다 는 것을 강조한다. 아이들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해 많은 것을 배운다. 성장해 나아가면서 모델의 대상도 가족, 교사, 또래, 친구, 유명인 등으로 확산되지만, 아이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부모가 가장 중요한 모델일 것이다. 부모의 행동 하나하나를 아이가 관찰하고 모방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부모로서의 올바른 마음가짐과 행동을 할 때, 이것이 가장 확실한 교육법이라는 것을 항상 상기해야 할 것이다. “옛말에 찬물도 위아래가 있다.”라는 말이나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다.”라는 말은 생각한다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즉 사회학습이론은 단순히 심리를 분석하는 모든 이 뿐만 아니라 개인과 가정, 조직 내의 모습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것과 같다.

 

'공부를 합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제도 수출입공고와 통합공고  (0) 2017.10.12
특수영양관리  (0) 2017.10.12
중국의 가족문화  (0) 2017.10.12
공업의 변화  (0) 2017.10.12
한국의 문학중 하나 한문학  (0) 2017.10.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