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이야기

GTX-A 노선,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출퇴근 시간 단축 효과는?

by 국토부소식통 2025. 2. 28.
반응형

1. GTX-A 개요 및 개통 현황

1-1. GTX-A란 무엇인가?

GTX-A(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수도권의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설된 고속 광역철도로, 기존 지하철보다 빠른 속도로 운행되며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이다. 최고 속도 180km/h로 운행되며 기존 지하철 대비 이동 시간이 대폭 줄어드는 것이 특징이다.

1-2. 운정중앙~서울역 구간 개통 후 이용 현황

GTX-A의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이 2024년 12월 28일 개통한 이후, 이용객 수는 급증했다. 개통 60일 만에 누적 이용객 219만 명을 돌파했으며, 하루 평균 36,557명이 GTX-A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개통 초기 예상보다 높은 이용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이용자 편의를 증대하기 위해 다양한 개선 조치를 시행했다.

1-3. GTX-A의 기존 운영 방식과 한계

GTX-A 개통 초기에는 열차 운행 횟수가 적고, 출퇴근 시간대 배차 간격이 길어 혼잡도가 높았다. 또한 서울역·연신내역 등의 환승 시스템이 미흡해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GTX-A 운영 방식을 개선하고 교통망을 확장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2. GTX-A 개선 사항 및 변경점

2-1. 출퇴근 시간 배차 간격 단축

기존에는 출퇴근 시간에 GTX-A의 배차 간격이 10분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2025년 3월 1일부터 6.25분으로 단축되었다.

구분기존 배차 간격개선 후 배차 간격

출퇴근 시간대 10분 6.25분
일반 시간대 15분 10분

배차 간격이 줄어들면서 GTX-A 이용자의 출퇴근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2-2. 열차 운행 횟수 확대

기존 GTX-A 노선의 열차 운행 횟수는 하루 왕복 224회였으나, 이번 개선을 통해 왕복 282회로 확대되었다.

구분기존 운행 횟수개선 후 운행 횟수

평일 224회 282회
주말 및 공휴일 180회 220회

 

2-3. 서울역·연신내역 환승 편의성 향상

기존 GTX-A 환승 시스템의 문제점 중 하나는 서울역과 연신내역에서 GTX 환승이 불편하다는 점이었다.

  • 서울역: 기존에는 지하 1층 환승 대합실을 거쳐야 했지만, 2025년 2월 15일부터 GTX-A 전용 환승통로가 개통되어 더욱 빠르고 편리한 환승이 가능해졌다.
  • 연신내역: 2025년 3월 1일부터 GTX-A 전용 출입구가 신설되어 지하철 3·6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환승 시간이 단축되었다.

2-4. GTX-A 연계 교통망 강화

2025년 2월 8일부터 운정중앙역과 연계되는 파주형 간선급행버스(PBRT) 2개 노선이 신설되어 GTX 접근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3. GTX-A의 출퇴근 시간 단축 효과

3-1. 기존 교통수단 대비 GTX-A의 장점

GTX-A는 기존 지하철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구간GTX-A 이용 시간기존 지하철 이용 시간광역버스 이용 시간

운정중앙 → 서울역 22분 46분 66분

3-2. GTX-A 이용 시 예상 소요 시간

GTX-A를 이용하면 출퇴근 시간이 기존 대비 최대 50% 이상 단축된다.

 


 

4. GTX-A의 향후 계획 및 전망

4-1. 추가 개통 예정 구간 및 연계 교통망

현재 GTX-A는 운정~서울역 구간까지 개통된 상태지만, 향후 용산·삼성 구간까지 연장 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4-2. GTX 노선 확대 계획 (GTX-B, GTX-C 포함)

GTX-A 외에도 GTX-B, GTX-C 노선이 추가로 개통될 예정이며, 수도권 내 광역급행철도 네트워크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4-3. 수도권 교통 환경 개선 기대 효과

GTX-A 및 추가 GTX 노선이 개통되면 수도권 내 출퇴근 시간 단축 효과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교통 정체 문제를 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5. 결론 및 요약

GTX-A는 수도권 출퇴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중요한 광역급행철도이며, 이번 개선 사항을 통해 더욱 편리한 이용이 가능해졌다. 배차 간격 단축, 열차 운행 횟수 확대, 환승 편의성 향상, 연계 교통망 강화 등의 조치로 GTX-A 이용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향후 추가 개통 구간과 GTX 노선 확장을 통해 더욱 발전할 전망이다.

 

관련글

https://bgghsfreelog.tistory.com/259

 

대심도 지하공간 안전사고 예방: GTX-A 삼성역의 핵심 점검 포인트

1. 서론: 대심도 지하공간과 GTX-A 삼성역의 중요성1-1. 대심도 지하공간의 개념과 필요성대심도 지하공간은 도시 내 교통 체증을 완화하고, 대규모 개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하 40m 이상의 깊

bgghsfreelog.tistory.com

https://bgghsfreelog.tistory.com/296

 

동탄 트램 & GTX-A 환승으로 출퇴근 시간 15분 단축!

1. 동탄 트램 도시철도 사업 개요1-1. 동탄 트램의 기본 계획동탄 트램은 동탄2신도시의 광역교통을 개선하기 위한 주요 교통 사업으로, 화성시, 수원시, 오산시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도시철

bgghsfreelog.tistory.com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