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이야기

2025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얼마나 올랐을까?

by 국토부소식통 2024. 12. 18.

1. 2025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 개요

1-1. 2025년 공시가격 변동률 요약

국토교통부는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산정된 **표준지와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을 발표했습니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2.93% 상승, 표준주택 공시가격1.9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번 공시가격은 2020년 수준의 시세반영률을 유지하면서 조사되었으며, 이에 따라 표준지의 시세반영률은 65.5%, 표준주택은 **53.6%**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부동산 가격 현실화 계획에 따른 수정방안을 반영한 것입니다.

1-2. 국토교통부 발표 주요 내용

2025년 표준지는 전국 총 60만 필지가 선정되었으며, 표준주택은 25만호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년도 대비 2만 필지의 표준지가 추가, 주택 멸실 및 용도 변경으로 4천호의 표준주택이 교체된 결과입니다.

공시가격은 부동산 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와 시·군·구청 민원실에서 2024년 12월 19일부터 2025년 1월 7일까지 열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견이 있는 경우 해당 기간 내 온라인 제출 또는 서면 제출이 가능합니다.

 


 

 

2. 표준지 공시지가 현황

2-1.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2025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2.93% 상승했습니다. 이는 2024년 1.10%에 비해 다소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10년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근 10년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현황 (단위 : %) 】[출처] '25년 공시가격 변동률 표준지 2.93%, 표준주택 1.96% 상승❘작성자 국토교통부

 

2-2. 지역별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 비교

지역별 상승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 3.92%
  • 경기: 2.78%
  • 대전: 2.01%
  • 부산: 1.84%
  • 인천: 1.83%

서울이 **3.92%**로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으며, 그 뒤를 경기와 대전이 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의 명동과 충무로 등 상업지대는 여전히 높은 공시지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3. 표준지 이용 상황별 변동률

  • 상업용지: 3.16% 상승
  • 주거용지: 3.05% 상승
  • 공업용지: 1.95% 상승
  • 농경지: 1.86% 상승
  • 임야: 1.62% 상승

상업용과 주거용 표준지가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이는 도시 개발과 상권 활성화가 지속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3. 표준주택 공시가격 분석

3-1. 표준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2025년 전국 표준주택 공시가격은 전년 대비 1.96% 상승했습니다. 이는 2024년 상승률인 0.57%보다 높아진 수치입니다.

주요 지역별 변동률:

  • 서울: 2.86%
  • 경기: 2.44%
  • 인천: 1.7%
  • 광주: 1.51%
  • 세종: 1.43%

서울과 경기가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3-2. 시·도별 표준주택 가격 현황

  • 서울: 63,677만 원
  • 경기: 26,908만 원
  • 부산: 15,165만 원
  • 대구: 19,185만 원
  • 인천: 19,891만 원

서울의 표준주택 평균가격이 6억 원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도권 지역이 평균 이상의 공시가격을 기록했습니다.

 


 

4. 2025년 공시가격 열람 및 의견 제출 방법

4-1. 열람 절차 및 기간

2025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 기간: 2024년 12월 19일 ~ 2025년 1월 7일
  • 장소:
    • 온라인: 부동산 공시가격알리미(www.realtyprice.kr)
    • 오프라인: 해당 표준지 또는 표준주택이 위치한 시·군·구청 민원실

4-2. 의견 제출 방법 안내

소유자는 공시가격에 의견이 있는 경우 다음 절차를 통해 제출할 수 있습니다:

  1. 온라인 제출: 부동산 공시가격알리미에서 의견서 양식을 작성하여 제출
  2. 서면 제출: 시·군·구청 민원실에 비치된 서식을 작성해 제출

제출 기한: 2025년 1월 7일까지

4-3. 관련 사이트 및 문의처

 


5. 부동산 가격 현실화 계획과 시세 반영률

5-1. 시세 반영률 유지 배경

국토부는 2020년 수준의 시세반영률을 유지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도한 공시가격 상승을 방지하고, 서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5-2. 부동산 가격 현실화 계획 주요 내용

  • 시세 반영률: 표준지 65.5%, 표준주택 53.6%
  • 목표: 공시가격의 현실화율을 점진적으로 높여 나가되, 2025년은 시장 상황을 고려해 동결

 


 

6. 결론: 2025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 전망

6-1. 향후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2025년 공시가격 상승은 세금, 재산세, 건강보험료 등의 부과 기준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 지역은 높은 상승률로 인해 재산세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6-2. 공시가격 상승의 의미

표준지와 표준주택 공시가격 상승은 부동산 가치 평가의 기준을 보다 투명하고 정확하게 반영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향후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시장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90498

 

’25년 공시가격 변동률 : 표준지 2.93%, 표준주택 1.96% 상승

 

www.molit.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