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이야기

2024년 11월 주택시장 동향: 매매 및 전월세 거래 분석

by 국토부소식통 2024. 12. 31.

1. 2024년 11월 주택시장 동향 개요

1-1. 발표 배경 및 주요 데이터 개요

2024년 11월 주택 통계는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주택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거래량 등 주요 지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통계는 2024년 국내 주택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과 지역별, 유형별 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11월 기준 주택 매매 거래량은 49,114건으로 전월 대비 13.2%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 8.1%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수도권과 지방 간 거래량의 차이가 두드러지며, 전월세 시장 또한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미분양 주택은 65,146호로 전월 대비 1.0% 감소했으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8,644호로 전월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 주요 통계 요약

이번 통계에서 주목할 점은 수도권의 주택 공급량 증가와 지방 시장의 상대적인 둔화입니다.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전월 대비 13.7% 증가한 13,287호로 집계되었으며, 지방은 4.2% 증가한 15,057호를 기록했습니다. 전월세 거래량은 전월 대비 9.5%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

 


 

2. 수도권 및 지방 주택 공급 현황

2-1. 인허가 및 착공 현황

2024년 11월 주택 인허가는 총 28,344호로 전월 대비 8.4%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0.6% 감소했습니다. 수도권은 13,287호로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25.7% 감소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지방의 경우 15,057호로 전년 동월 대비 41.6% 증가하며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택 착공은 21,717호로 전월 대비 10.1%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21.4% 증가했습니다. 특히 수도권 착공은 10,460호로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지방에서는 11,257호로 전월 대비 8.9% 증가하며 지역별 차이를 보였습니다.

2-2. 분양 승인 및 준공 주택 데이터 분석

11월 분양 승인된 주택은 총 29,353호로 전월 대비 43.8% 증가하며 강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수도권에서 18,643호, 지방에서 10,710호가 분양 승인되었습니다. 특히 서울의 분양 승인 수는 5,506호로 전월 대비 98.7% 증가하며 가장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습니다.

준공 주택 수는 42,381호로 전월 대비 33.0% 증가했으며, 수도권에서는 24,153호, 지방에서는 18,228호가 준공되었습니다. 이는 공급이 점차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주택 매매 거래량 분석

3-1. 전국 및 수도권 거래량 비교

11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전년 대비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수도권에서는 21,777건이 거래되며 전월 대비 12.9%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20.9% 증가했습니다. 서울에서는 6,803건이 거래되어 전년 대비 37.1% 증가하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3-2. 지방 주택 매매 동향

지방 주택 거래량은 27,337건으로 전월 대비 13.4%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0.2% 감소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주요 지방 광역시 중 부산, 대구, 울산은 전년 동월 대비 소폭 감소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소폭 증가를 보였습니다.

 


 

4. 전월세 거래량 및 시장 동향

4-1. 전월세 거래량의 추이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191,172건으로 전월 대비 9.5% 감소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9.5%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수도권에서는 127,494건이 거래되어 전년 동월 대비 9.7% 감소했습니다. 서울의 전월세 거래량은 57,146건으로 수도권 전체 거래의 약 44%를 차지했습니다.

4-2. 임차 유형별 전세 및 월세 변화

전세 거래량은 79,892건으로 전월 대비 12.6% 감소했으며, 월세 거래량은 111,280건으로 전월 대비 7.1% 감소했습니다. 월세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임차인의 선호도가 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수도권 월세 비중은 57.4%로 전년 대비 증가하며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5. 미분양 및 준공 후 미분양 현황

5-1.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1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65,146호로 전월 대비 1.0% 감소했습니다. 수도권에서는 14,494호로 전월 대비 3.9% 증가했으며, 지방에서는 50,652호로 전월 대비 2.4% 감소했습니다.

5-2. 수도권 및 지방 미분양 비교

수도권에서는 미분양 주택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나, 지방에서는 감소세가 뚜렷합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국적으로 18,644호로 전월 대비 1.8% 증가했습니다. 특히 서울의 준공 후 미분양은 603호로 전월 대비 15.3% 증가하며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6. 2024년 주택시장 전망과 분석

6-1. 통계에 기반한 시장 전망

2024년 주택시장은 수도권의 거래량 증가와 지방 시장의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분양 승인과 착공 건수의 증가로 인해 공급이 안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6-2. 정책적 시사점과 시장 변화의 방향

정부는 수도권 중심의 주택 공급과 지방의 주택 시장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특히 미분양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별로 차별화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7. 결론

2024년 11월 주택 통계는 시장의 회복과 균형 조정의 신호를 보여줍니다. 수도권과 지방 간의 차이를 고려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정부 정책과 시장의 변화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합니다.

 

출처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90563

 

국토교통부에서 알려드립니다

 

www.molit.go.kr

 

241231(석간)_24년_11월_주택_통계(주택정책과).pdf
1.39M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