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외건설 누적수주 1조 달러 달성의 의의
1-1. 누적수주 1조 달러의 역사적 배경
대한민국은 1965년 태국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를 시작으로 해외건설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당시 현대건설이 이끈 첫 수주는 단순한 시공을 넘어 대한민국 건설 기술의 첫 해외 진출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이후 59년 만인 2024년, 누적 수주 1조 달러를 달성하며 대한민국 건설산업의 국제적 경쟁력을 증명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록은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에 이어 대한민국이 세 번째로 달성한 ‘1조 달러 클럽’ 진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금액적 성과를 넘어, 대한민국 기업이 세계 건설 시장에서 기술력과 신뢰를 쌓아온 긴 역사를 보여줍니다.
1-2. 중동·아시아 중심에서 글로벌 시장으로
대한민국의 해외건설은 초기 중동과 아시아에 집중되었습니다. 특히, 1970~1980년대 오일쇼크와 중동 건설 붐 시기를 거치며 중동은 대한민국의 주요 시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 등은 우리 기업의 대표적인 수주국으로 꾸준히 이름을 올렸습니다.
최근에는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도 성과를 내며 진출 지역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의 수주는 각각 19.3%와 10.4%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 기업이 단순 시공을 넘어 플랜트, 에너지, 친환경 인프라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 결과입니다.

2. 2024년 해외건설 수주 성과
2-1. 중동 시장에서의 성공 사례
2024년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 37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4% 증가하며 3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이 중 중동 시장에서의 수주는 184.9억 달러로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며 핵심 시장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는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젝트(73억 달러)와 같은 메가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중동 국가들과의 긴밀한 외교적 협력과 민관 협력이 결합된 결과로 평가됩니다. 또한, 중동 시장에서의 성과는 '제2중동붐'이라는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3. 투자개발사업의 도전과 성과
2024년 투자개발사업 수주는 51.7억 달러로, 전년 대비 3.5배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정부의 PIS 펀드와 같은 정책적 지원이 결합된 결과로 평가됩니다.
주요 사례로는 카타르 퍼실리티 E 담수 발전 플랜트와 튀르키예 나카스-바삭세히르 고속도로 프로젝트가 있으며, 이는 기술력뿐 아니라 투자개발사업에서의 대한민국 기업의 경쟁력을 입증한 사례로 꼽힙니다. 이러한 성과는 우리 기업들이 단순 도급사업을 넘어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해외건설의 국가 경제 기여도
3-1. 경상수지와 GDP 대비 기여율
해외건설은 대한민국 경상수지 흑자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대한민국은 세계 주요 20대 경상수지 대국 중 경상수지 대비 건설수지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13%)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는 해외건설이 단순한 수출입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2023년 기준 대한민국의 GDP 대비 건설수지 비율은 0.24%로, 세계 주요 경제대국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이는 대한민국 건설 산업이 국가 경제를 견인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3-2. 향후 글로벌 건설 시장에서의 전망
향후 글로벌 건설 시장에서 대한민국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의 인프라 프로젝트 확대와 더불어 중동의 지속적인 플랜트 수요는 우리 기업들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건설과 친환경 인프라가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태양광, 배터리 공장 등 신산업 분야에서의 수주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와 민간 기업의 협력은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글로벌 시장에서의 대한민국 건설 산업의 입지를 강화할 것입니다.
출처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90588
반도체·자동차 이어 세 번째 1조 달러 달성…1965년 최초 해외수주 이래 59년만, 우리 해외건설의
www.molit.go.kr
'요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절버스부터 자율주행까지, 모빌리티 혁신 사례 총정리 (1) | 2025.01.14 |
---|---|
설 명절, 택배 특별관리기간으로 과로 방지 및 원활한 배송 기대! (0) | 2025.01.12 |
서울시 카카오톡 채널 친구 100만 명 돌파 이벤트! 주요 정보 한눈에 보기 (1) | 2025.01.12 |
K-패스, 다자녀 혜택 확대! 2025년부터 더욱 커지는 혜택의 장점 (0) | 2025.01.11 |
경기북부 교외선 20년 만에 재운행, 역사와 새로운 시작! (2) | 2025.01.10 |
교통약자법 개정안: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 환경의 변화 (1) | 2025.01.07 |
2025년, 모바일로 간편하게! K-패스 활용법 (2) | 2025.01.07 |
서울시의 새로운 규제 철폐 정책, 시민이 기대하는 변화 (1)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