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이야기

12.29 제주항공 사고, 유가족 지원단 출범: 피해자 일상 복귀 지원

by 국토부소식통 2025. 1. 22.
반응형

1. 12.29 제주항공 사고의 배경

2024년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는 대한민국 항공 역사에 큰 충격을 남긴 사건이었습니다. 사고는 전남 무안공항 인근에서 발생하며 다수의 사상자를 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관계기관은 사고 직후 긴급 대응에 나섰고, 피해자 및 유가족을 위한 장기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피해자 지원단 출범을 결정했습니다.

 


 

2. 피해자 지원단의 구성 및 역할

2-1. 무안공항 통합지원센터

피해자와 유가족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 2025년 1월 20일 국토교통부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피해자 지원단"을 정식 출범했습니다.
무안공항 통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지원단은 사고 피해자를 대상으로 정보 제공, 상담, 심리 치료 등을 지원하며, 피해 지역 주민들의 안정적인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2. 관계기관 합동 조직의 역할

지원단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지자체(전남, 광주, 무안), 공항공사 등 총 30여 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합동 조직입니다.
조직은 △기획총괄과, △피해보상지원과, △유가족지원과로 나뉘어 있으며, 각 과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획총괄과: 정책 기획 및 운영 조율
  • 피해보상지원과: 피해자 보상 절차 및 보상금 지급
  • 유가족지원과: 심리적 안정과 일상 복귀 프로그램 운영

 


 

3. 유가족 지원의 주요 내용

3-1. 심리 상담 및 치유 프로그램

유가족들의 정서적 안정과 치유를 위해 심리 치료 전문가들이 참여한 상담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개인 상담과 그룹 세션으로 구성되어 유가족들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고 함께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3-2. 피해자 보상금 지급

피해 보상은 피해자의 경제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지원단은 공정하고 신속한 보상 절차를 통해 피해자와 유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3-3. 일상 복귀 지원

교육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 재정 관리 워크숍 등 다양한 일상 복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이 프로그램들은 유가족이 사고 이전의 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4. 재발 방지 대책과 향후 계획

4-1. 항공 안전 기준 강화

제주항공 사고 이후, 국토교통부는 항공 안전 기준을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정기 점검 규정과 조종사 자격 기준을 국제 표준에 부합하도록 개정하여 사고 재발 가능성을 줄일 계획입니다.

4-2. 사고 대응 매뉴얼 개선

기존 사고 대응 매뉴얼을 전면 개편하여, 사고 발생 시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중입니다.
특히, 피해자 지원 체계를 사고 초기부터 원활히 운영할 수 있도록 대응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4-3. 지역사회의 협력 강화

피해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경제적 지원과 심리적 안정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 공동체가 사고의 충격에서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결론: 유가족과 피해자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개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피해자 지원단"은 단순한 사고 대응 조직을 넘어, 피해자와 유가족의 삶을 회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제공합니다.
국토교통부와 관계기관은 유가족의 마음에 공감하며 지속적인 지원과 항공 안전 강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유가족의 아픔을 치유하고, 더 안전한 항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출처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610

 

20일부터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피해자 지원단” 출범

 

www.molit.go.kr

250120(석간) 유가족분들의 일상 복귀를 위해 전담조직을 출범하여 지원해나가겠습니다.(기획총괄과).pdf
0.18MB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