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란?
1-1.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자동차 실내는 밀폐된 공간으로, 차량 내부에서 방출되는 화학 물질이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2007년부터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8종의 방출량을 측정하고 있다.
1-2. 조사 대상 및 방법
2024년에는 국내외에서 신규 제작·판매된 19개 차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각 차량의 내부 공기질을 정해진 환경 조건에서 일정 시간 동안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3. 측정하는 주요 유해물질
조사에서는 폼알데하이드, 벤젠, 자일렌, 톨루엔, 스티렌 등 8종의 유해물질을 측정하며, 각 물질은 특정 기준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2024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 결과
2-1. 실내공기질 기준 충족 차량 목록
2024년 조사 결과, 대부분의 차량이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을 충족한 주요 차종
- 기아: EV3, EV9
- 현대: 산타페
- 토요타: 프리우스, CROWN Hybrid, Alphard Hybrid
- 볼보: S60, XC60B5 AWD
- 벤츠: GLB250, GLC300, EQE350, EQA250
- BMW: i5 eDrive40
- 한국지엠: GMC Sierra
2-2. 기준 초과 차량 및 문제 원인 분석
하지만 지프 랭글러 루비콘 모델에서는 스티렌(Styrene) 수치가 2,072.6㎍/㎥로 기준(220㎍/㎥)을 초과하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제작사인 스텔란티스코리아는 하드탑 부품 제작 시 적정 온도를 유지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3. 자동차 실내 유해물질 – 어떤 성분이 문제인가?
3-1.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폼알데하이드는 강력한 발암물질로, 장기간 노출 시 눈과 호흡기 자극, 피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3-2. 스티렌(Styrene)
플라스틱 수지에서 방출되는 스티렌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이번 조사에서 기준치를 크게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3. 벤젠(Benzene)과 자일렌(Xylene)
벤젠은 혈액 순환 및 면역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며, 자일렌은 신경계 및 피부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4. 국토교통부의 개선 조치 및 향후 계획
4-1. 제작사의 개선 방안 및 후속 조치
국토교통부는 스텔란티스코리아에 공정 개선을 요구했으며, 이에 따라 온도 기록 관리 및 실내 유해물질 모니터링을 강화하도록 조치했다.
4-2. 신차 실내공기질 기준 강화 계획
국토교통부는 향후 더 엄격한 실내공기질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며,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기준치를 낮추는 방향으로 개정할 계획이다.
4-3.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소비자 보호 정책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자동차 제작사의 책임 강화 및 차량 내장재의 친환경성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5. 자동차 실내공기질 관리 – 소비자가 할 수 있는 일
5-1. 새 차에서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
- 차량 인수 후 초기 2~3주는 자주 환기시키기
- 고온의 날씨에 창문을 열고 주차하여 휘발성 유해물질 배출 유도
- 활성탄 필터가 장착된 공기 청정기 사용
5-2. 자동차 내부 환기 및 청소 방법
- 주기적으로 창문을 열어 내부 공기 순환
- 실내 가죽 및 플라스틱 부품을 중성 세제로 닦아 유해물질 제거
- 정기적인 필터 교체 및 실내 소독
5-3. 친환경 자동차 선택 가이드
- 친환경 내장재를 사용한 차량 선택
- 신차 구입 전 실내공기질 관련 정보 확인
- 자동차 제작사의 공기질 관리 방침 검토
6. 결론
이번 2024년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는 대체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지만, 일부 차량에서는 여전히 유해물질이 초과 검출되고 있다. 소비자는 신차 구입 시 실내공기질 정보를 확인하고, 차량을 사용할 때도 적극적인 환기 및 청소를 통해 보다 건강한 운전 환경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요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도시철도 1호선(트램) 기본계획 승인! 2028년 개통 목표 (0) | 2025.02.11 |
---|---|
고양창릉 공공주택지구 첫 마을 분양 시작! 최신 정보 총정리 (0) | 2025.02.08 |
도심복합개발법 시행! 복합개발사업 본격화로 주거 혁신 가속 (0) | 2025.02.08 |
세종시 1호 우수건축자산 조치원 문화정원, 문화 랜드마크로 재탄생 (1) | 2025.02.07 |
광역교통 혁신! 신기술로 해결하는 미래 교통 로드맵 (2) | 2025.02.06 |
국토 공간 혁신! 인구 감소·지방 소멸 해결 위한 새 전략은? (1) | 2025.02.06 |
안심하고 머무는 실버스테이, 2025년 사업 기회를 잡아라! (4) | 2025.02.06 |
2024년 12월 주택 시장 분석: 인허가·착공·분양·매매 최신 동향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