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론쇼 코리아 2025 개요
1-1. 드론쇼 코리아 2025의 규모와 참가국
2025년 2월 26일부터 2월 2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드론쇼 코리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 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15개국, 306개 드론 기업이 참여했으며, 약 4만여 명의 참관객이 방문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1-2. 주요 주최 및 협력 기관
드론쇼 코리아 2025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국방부, 우주항공청, 부산시가 공동 주최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이 공간정보 관련 전시를 주관했다.
2. 공간정보 융복합 신기술과 드론의 역할
2-1. 공간정보 기술과 드론의 융합
공간정보 기술과 드론이 결합하면서 지형 분석, 도시 계획, 재난 관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드론 공간정보 기술(Drone Spatial Information Tech·DSIT)**이 주목을 받았다.
2-2. 디지털 트윈과 드론 측량 기술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가상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리적 공간을 재현하는 기술로, 드론을 활용해 고해상도 공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한 드론 측량 기술이 공개되었으며, 이를 통해 공공 측량, 건설 현장 관리, 재해 예측 등의 활용 방안이 논의되었다.
3. 드론쇼 코리아 2025의 주요 기술 및 전시 기업
3-1. 공간정보 얼라이언스 기업 소개
이번 행사에서는 공간정보 융합 얼라이언스가 주관하는 전문 기업들의 전시관이 운영되었다. 주요 기업 및 기술은 다음과 같다.
3-2. 드론 기반 공간정보 기술의 실제 활용 사례
- 공공 측량: 기존의 지상 측량보다 빠르고 정확한 드론 활용 측량 기술 적용
- 스마트 건설: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관리 및 자동화
- 도시 계획 및 관리: 3D 모델링 기반 도시 계획 수립
- 재난 대응: 위성 및 드론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피해 분석
4. 드론과 공간정보 산업의 미래 전망
4-1. 스마트 건설과 드론 기술
스마트 건설(Smart Construction) 분야에서 드론은 건설 현장 자동화, 작업 모니터링, 시공 검증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드론 기반 공간정보 솔루션을 통해 건설 현장의 오차를 줄이고,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4-2. 공간정보 산업의 발전 방향
- AI 기반 드론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을 활용한 공간정보 분석 및 자동화
- 고정밀 공간정보 구축: GNSS, 라이다 등을 이용한 정밀 지도 제작
- 드론과 위성의 결합: 위성 영상과 드론 영상을 융합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 확보
5. 드론쇼 코리아 2025의 주요 성과
5-1.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이번 행사에서는 **다수의 기업 간 업무협약(MOU)**이 체결되었다. 주요 협약은 다음과 같다.
- 드론디비젼은 세계드론스포츠연합회 및 해외 6개국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
- 웨이즈원과 시스테크는 공간정보 융합 기술 협력을 위한 협약 체결
5-2. 드론 측량 기술의 제도적 개선
국토지리정보원은 드론을 활용한 공공측량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기존의 지상 측량보다 비용 절감과 신속성이 뛰어난 드론 측량이 법제화될 경우,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에서의 활용도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6. 결론: 드론쇼 코리아 2025가 가져올 변화
드론쇼 코리아 2025는 드론 기술과 공간정보 산업의 융합을 통한 혁신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디지털 트윈, 드론 측량, 스마트 건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드론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드론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공간정보 산업의 고도화 및 자동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이를 통해 국가 인프라, 건설, 재난 대응, 스마트 시티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요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기 신도시 광역교통 해결책 찾기: 정부와 지자체 합동 포럼 개최 (1) | 2025.03.05 |
---|---|
건설기계 검사 예약제 전국 확대! 대기 시간 확 줄어든다 (0) | 2025.03.05 |
지역경제 활성화! 철도역세권 개발 및 맞춤형 지원사업 확대 (0) | 2025.03.05 |
전국 22,000개 건설현장 집중 점검! 안전강화 대책 총정리 (1) | 2025.03.05 |
‘K-패스’ 출시 10개월 만에 300만 이용자 돌파! 혜택과 신청 방법은? (2) | 2025.03.04 |
해빙기 안전관리 필수! 급경사지 붕괴 예방을 위한 점검 방법 (1) | 2025.02.28 |
국토부, 2025년 3월 기본형 건축비 조정 – 신규 분양가 영향은? (2) | 2025.02.28 |
가덕도 신공항 거버넌스 첫 회의 개최! 미래 항공 허브로 도약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