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이야기

드론쇼 코리아 2025: 공간정보 융복합 신기술 총정리!

by 국토부소식통 2025. 3. 4.
반응형

1. 드론쇼 코리아 2025 개요

1-1. 드론쇼 코리아 2025의 규모와 참가국

2025년 2월 26일부터 2월 2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드론쇼 코리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 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15개국, 306개 드론 기업이 참여했으며, 약 4만여 명의 참관객이 방문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1-2. 주요 주최 및 협력 기관

드론쇼 코리아 2025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국방부, 우주항공청, 부산시가 공동 주최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이 공간정보 관련 전시를 주관했다.

 


 

2. 공간정보 융복합 신기술과 드론의 역할

2-1. 공간정보 기술과 드론의 융합

공간정보 기술과 드론이 결합하면서 지형 분석, 도시 계획, 재난 관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드론 공간정보 기술(Drone Spatial Information Tech·DSIT)**이 주목을 받았다.

2-2. 디지털 트윈과 드론 측량 기술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가상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리적 공간을 재현하는 기술로, 드론을 활용해 고해상도 공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한 드론 측량 기술이 공개되었으며, 이를 통해 공공 측량, 건설 현장 관리, 재해 예측 등의 활용 방안이 논의되었다.

 


 

3. 드론쇼 코리아 2025의 주요 기술 및 전시 기업

3-1. 공간정보 얼라이언스 기업 소개

이번 행사에서는 공간정보 융합 얼라이언스가 주관하는 전문 기업들의 전시관이 운영되었다. 주요 기업 및 기술은 다음과 같다.

 

3-2. 드론 기반 공간정보 기술의 실제 활용 사례

  • 공공 측량: 기존의 지상 측량보다 빠르고 정확한 드론 활용 측량 기술 적용
  • 스마트 건설: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관리 및 자동화
  • 도시 계획 및 관리: 3D 모델링 기반 도시 계획 수립
  • 재난 대응: 위성 및 드론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피해 분석

 


 

4. 드론과 공간정보 산업의 미래 전망

4-1. 스마트 건설과 드론 기술

스마트 건설(Smart Construction) 분야에서 드론은 건설 현장 자동화, 작업 모니터링, 시공 검증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드론 기반 공간정보 솔루션을 통해 건설 현장의 오차를 줄이고,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4-2. 공간정보 산업의 발전 방향

  • AI 기반 드론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을 활용한 공간정보 분석 및 자동화
  • 고정밀 공간정보 구축: GNSS, 라이다 등을 이용한 정밀 지도 제작
  • 드론과 위성의 결합: 위성 영상과 드론 영상을 융합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 확보

 


 

5. 드론쇼 코리아 2025의 주요 성과

5-1.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이번 행사에서는 **다수의 기업 간 업무협약(MOU)**이 체결되었다. 주요 협약은 다음과 같다.

  • 드론디비젼세계드론스포츠연합회 및 해외 6개국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
  • 웨이즈원과 시스테크는 공간정보 융합 기술 협력을 위한 협약 체결

5-2. 드론 측량 기술의 제도적 개선

국토지리정보원은 드론을 활용한 공공측량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기존의 지상 측량보다 비용 절감과 신속성이 뛰어난 드론 측량이 법제화될 경우,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에서의 활용도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6. 결론: 드론쇼 코리아 2025가 가져올 변화

드론쇼 코리아 2025는 드론 기술과 공간정보 산업의 융합을 통한 혁신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디지털 트윈, 드론 측량, 스마트 건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드론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드론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공간정보 산업의 고도화 및 자동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이를 통해 국가 인프라, 건설, 재난 대응, 스마트 시티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