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이야기

GTX-A 개통 1주년, 수서∼동탄 누적 410만명 돌파! 운정∼서울역 360만명 기록

by 국토부소식통 2025. 4. 2.

1. GTX-A 노선 개요와 개통 현황

1-1. 노선의 구조 및 개통 시점

GTX-A 노선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3개 노선 중 가장 먼저 착공된 노선으로, 수도권 남북을 고속으로 연결하는 핵심 교통축입니다. 이 노선은 경기도 파주 운정에서 서울을 거쳐 경기 동남부 동탄까지 이어지며, 일반 지하철보다 3배 이상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수서∼동탄 구간은 2024년 3월 30일,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같은 해 12월 28일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습니다.

1-2. GTX-A 노선의 주요 구간

GTX-A는 전체적으로 운정∼킨텍스∼서울역∼수서∼동탄을 잇는 구조입니다. 총 거리 약 83.1km에 이르며, 향후 삼성역 및 창릉역 개통으로 전체 구간이 완성될 예정입니다. 현재는 구간별로 순차 개통이 진행되며, 이용 수요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GTX-A 1년간 이용 현황

2-1. 수서∼동탄 구간 이용 분석

수서∼동탄 구간은 개통 1년 만에 약 410만 명이 이용하며 기대 이상의 수요를 보였습니다. 초기에는 주간 일평균 약 7,700명 수준에서 시작했으나, 2025년 3월 말 기준 주간 일평균 16,171명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예측 수요 대비 75.1%에 달하는 실적은 매우 긍정적인 지표입니다. 특히 구성역이 개통된 이후, 평일 이용자는 21,523명으로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2-2. 운정∼서울역 구간 3개월 실적

해당 구간은 개통 3개월 만에 누적 361만 명 이상이 이용해, 하루 평균 약 39,321명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예상 수요의 91.1%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특히 운행 초기에 비해 단기간에 이용자 수가 급증한 점이 인상적이며, GTX-A의 필요성과 편리함을 방증합니다.

 


 

3. 이용자 증가 요인 분석

3-1. 이동 시간 단축 효과

GTX-A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대비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파주 운정에서 서울역까지 기존 경의중앙선을 이용할 경우 약 46분, 광역버스 이용 시 66분이 소요되었으나, GTX-A를 이용하면 단 22분으로 단축됩니다. 수서∼동탄 구간도 기존 75분에서 21분으로 줄어들어 시간 절약 측면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3-2. 출퇴근 수요 집중 패턴

GTX-A는 출퇴근 시간대 수요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평일 기준 오전 7시~9시, 오후 5시~7시에 이용자 비중이 전체의 41.3%에 달하며, 이는 GTX가 단순한 고속철이 아닌 통근 필수 수단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줍니다.

 


 

4. 역별 이용률 및 특이사항

4-1. 서울역, 운정중앙, 킨텍스의 주요 역할

지난 1년간 역별 이용률을 분석한 결과, 서울역이 전체의 31.4%, 운정중앙역이 15.9%, 킨텍스역이 10.2%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서울 도심과 경기 북부 간의 이동 수요가 매우 크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특히 킨텍스의 주요 행사일에는 이용자 수가 급증하며 교통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4-2. 주말과 행사일 수요 집중 현상

GTX-A는 평일뿐 아니라 주말 여가 이동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말에는 오후 3시~6시 시간대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 주말 이용자 중 금요일이 16.4%, 토요일이 16.3%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킨텍스 행사 기간에는 예측 대비 160%를 초과하는 수요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5. GTX-A 운영 및 편의성 개선 노력

5-1. 열차 증편과 배차 간격 단축

GTX-A는 이용객 증가에 발맞춰 열차를 증편해왔습니다. 수서∼동탄 구간은 일일 왕복 52회에서 60회로,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112회에서 141회로 증편되어 출퇴근 시간 배차 간격을 10분에서 6.25분으로 줄였습니다.

5-2. 역사의 출입 편의성 확대

구성역은 2024년 6월에 개통되었고, 동탄역과 연신내역은 각각 2024년 12월, 2025년 3월에 출입구를 추가 개방했습니다. 동탄역은 연계버스와 연결 도로를, 운정중앙역은 PBRT와 연결되는 교통망을 구축해 접근성과 환승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5-3. 사고 ZERO와 안전관리

GTX-A는 개통 이후 약 278만km를 달리는 동안 단 한 건의 철도 사고 없이 ‘ZERO 사고’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울역 등 이용량이 많은 역에는 안전 요원을 집중 배치하고 있으며, 비상대응 훈련 및 관계기관 합동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6. 향후 계획과 기대 효과

6-1. 미개통 역사 창릉·삼성역 추진 상황

GTX-A 완공을 위한 창릉역은 2025년 3월 착공되었으며, 삼성역은 2026년 무정차 통과를 시작으로 2028년 완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입니다. 두 역사 모두 수도권 주요 신도시와 업무 중심지를 연결하게 되어, 노선 완성도와 효율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입니다.

6-2. 수도권 교통혁신의 미래

GTX-A는 서울과 경기도 남북부를 연결하는 핵심 노선으로, 수도권 출퇴근난 해소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향후 GTX-B, GTX-C 노선과의 연계를 통해 수도권 전체를 촘촘하게 연결하는 광역 교통망을 완성해갈 계획입니다. 특히 창릉신도시, 동탄2신도시 등 주요 개발지구와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부동산 가치와 도시 경쟁력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글

https://bgghsfreelog.tistory.com/310

 

GTX-A 노선,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출퇴근 시간 단축 효과는?

1. GTX-A 개요 및 개통 현황1-1. GTX-A란 무엇인가?GTX-A(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수도권의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설된 고속 광역철도로, 기존 지하철보다 빠른 속도로 운행되며 주요 거점을

bgghsfreelog.tistory.com

https://bgghsfreelog.tistory.com/296

 

동탄 트램 & GTX-A 환승으로 출퇴근 시간 15분 단축!

1. 동탄 트램 도시철도 사업 개요1-1. 동탄 트램의 기본 계획동탄 트램은 동탄2신도시의 광역교통을 개선하기 위한 주요 교통 사업으로, 화성시, 수원시, 오산시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도시철

bgghsfreelog.tistory.com

https://bgghsfreelog.tistory.com/259

 

대심도 지하공간 안전사고 예방: GTX-A 삼성역의 핵심 점검 포인트

1. 서론: 대심도 지하공간과 GTX-A 삼성역의 중요성1-1. 대심도 지하공간의 개념과 필요성대심도 지하공간은 도시 내 교통 체증을 완화하고, 대규모 개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하 40m 이상의 깊

bgghsfreelog.tistor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