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이야기

청년을 위한 안전한 전세계약 가이드 – 사기 예방 교육 필수 정보!

by 국토부소식통 2025. 2. 12.
반응형

1. 전세사기 증가와 청년층 피해 현실

전세사기 피해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20~30대) 피해 비율이 74.3%**에 달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부동산 지식이 부족하고, 보증금이 상대적으로 낮아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대학가 및 원룸촌에서 허위 계약이 성행하며, 계약 후 보증금 반환이 불가능해지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2. 전세계약 단계별 주의사항

(1) 계약 전 –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

  • 등기부등본 확인: 집주인이 실제 소유자인지 반드시 확인
  • 시세 비교: 주변 시세보다 현저히 낮은 보증금은 의심
  •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체크: 가입이 가능하면 더욱 안전

(2) 계약 중 – 신뢰할 수 있는 계약 체결 방법

  • 공인중개사 등록 여부 확인: 무등록 중개업자는 법적으로 문제 발생 가능
  • 전세보증보험 가입 필수: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서울보증보험(SGI) 등을 활용
  • 계약서에 확정일자 받기: 향후 법적 보호를 위해 필수

(3) 계약 후 – 추가적으로 확인할 사항

  •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보증금 반환이 어려운 상황 대비
  • 집주인의 대출 현황 파악: 대출금이 높은 경우 보증금 반환이 어려울 수 있음

 


 

3. 전세사기 피해 사례와 대응법

(1) 대표적인 사기 유형

  • 이중계약: 같은 집을 여러 명과 계약해 보증금을 중복 수령
  • 허위 보증금 요구: 시세보다 높은 금액을 요구하고 보증금 반환을 거부

(2) 피해 발생 시 대처법

  • 법률 상담 활용: 대한변호사협회, 대한법무사협회 등의 무료 상담 지원
  • 주거 지원 대책 활용: 전세사기피해자 지원법에 따른 긴급 주거 지원 가능
  • 금융 지원 프로그램 이용: 서민주택금융재단을 통한 긴급 자금 지원

 


 

4. 전세사기 예방 교육의 필요성과 확대 계획

청년층의 전세사기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대학 캠퍼스에서 직접 교육을 진행한다.

(1) 2024년 대학 캠퍼스 특별 강연 일정

  • 서울시립대(2.13), 성균관대(2.19), 대전과기대(2.25)
  •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특별 강연 형식으로 진행

(2) 교육 내용 및 진행 방식

  • 전세계약 단계별 유의사항 및 피해 사례 분석
  • 전세사기피해자 지원법 개정 사항 설명(2024.11.11 시행)
  •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협력한 전세보증보험 상담 및 법률 상담 제공
  • 퀴즈 및 참여형 이벤트를 통해 청년층의 이해도 증대

(3) 전국 확대 추진

향후 전국 대학, 지방자치단체, 기업체로 교육을 확대하며, 연중 상시 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5. 결론

전세사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청년층은 계약 전 반드시 등기부등본 확인 및 전세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체크해야 한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전세계약 예방 교육을 적극 활용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피해 발생 시에는 법률 및 금융 지원을 빠르게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는 앞으로도 전국적으로 예방 교육을 확대하며, 청년층이 안전한 전세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반응형

+